API와 데이터베이스 개념
혹시 "API"나 "데이터베이스"라는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IT 뉴스나 개발 관련 글에서 자주 등장하지만, 비개발자에게는 복잡하고 어려운 개념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우리 서비스는 REST API를 사용해요", "데이터베이스 최적화가 필요해요" 같은 말들이 도대체 무슨 뜻일까요?
오늘 이 글을 다 읽고 나면, 여러분이 매일 사용하는 모든 앱과 웹사이트 뒤에서 API와 데이터베이스가 어떻게 협력하고 있는지 명확하게 이해하게 되실 겁니다. 마치 좋아하는 식당에서 음식을 주문하는 것처럼 쉽고 자연스럽게 말이죠!
식당으로 이해하는 웹 서비스 전체 구조
웹 서비스를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식당에 비유하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좋아하는 식당에 가서 음식을 주문하는 과정을 생각해 보세요.
식당의 4가지 핵심 요소
1. 손님 (사용자) 🙋♀️
• 음식을 주문하고 받아먹는 사람
• 웹 서비스에서는 앱이나 웹사이트를 사용하는 우리
2. 웨이터 (API) 👨💼
• 손님의 주문을 받고 주방에 전달하는 역할
• 메뉴판을 보여주고 정해진 방식으로 주문을 처리
3. 주방 (백엔드 서버) 👨🍳
• 실제로 음식을 만드는 곳
• 웨이터의 주문을 받아 요리를 완성
4. 창고 (데이터베이스) 📦
• 모든 재료와 식자재를 보관하는 곳
•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필요할 때 바로 찾을 수 있음
이 네 가지가 완벽하게 협력해야 맛있는 음식이 손님에게 전달됩니다. 웹 서비스도 정확히 같은 방식으로 작동해요!
API - 식당의 메뉴판과 웨이터 👨💼
API가 정확히 무엇인가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식당의 메뉴판과 웨이터를 합친 개념입니다.
메뉴판으로서의 API
식당 메뉴판을 보면 이런 정보들이 있죠:
• 음식 이름: "불고기 정식"
• 가격: "15,000원"
• 주문 방법: "테이블 번호와 함께 주문"
• 제공 시간: "15분 소요"
API도 똑같습니다:
• 기능 이름: "사용자 정보 조회"
• 필요한 정보: "사용자 ID"
• 요청 방법: "GET /user/123"
• 응답 형태: "이름, 이메일, 가입일"
웨이터로서의 API
웨이터가 하는 일:
1.손님의 주문을 정확히 듣기
2.주방에 올바른 형태로 전달
3.음식이 완성되면 손님에게 가져다주기
4.문제가 있으면 적절히 안내하기
API도 똑같은 역할을 합니다:
1.사용자의 요청을 받기
2.백엔드 서버에 처리 요청
3.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
4.오류 발생 시 적절한 메시지 제공
실제 예시: 인스타그램에서 사진 업로드
1.사용자: "사진을 업로드하고 싶어요"
2.API: "사진 파일과 설명을 주세요"
3.사용자: 사진과 "오늘 점심 맛있었다!" 전달
4.API: 백엔드에 "새 게시물 저장 요청" 전달
5.백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후 완료 신호
6.API: "업로드 완료!" 사용자에게 응답
데이터베이스 - 식당의 창고와 파일 캐비닛 📁
데이터베이스가 정확히 무엇인가요?
데이터베이스(Database)는 식당의 창고이자 거대한 파일 캐비닛입니다.
창고로서의 데이터베이스
식당 창고의 특징:
• 체계적 정리: 야채, 육류, 조미료별로 구분
• 신선도 관리: 유통기한 체크, 선입선출
• 재고 관리: 부족한 재료 파악, 주문 계획
• 접근 통제: 허가받은 직원만 출입 가능
데이터베이스도 똑같습니다:
• 체계적 정리: 사용자 정보, 게시글, 주문 내역별로 구분
• 데이터 무결성: 잘못된 정보 방지, 일관성 유지
• 효율적 검색: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찾기
• 보안 관리: 권한이 있는 시스템만 접근 가능
파일 캐비닛으로서의 데이터베이스
거대한 사무실의 파일 캐비닛을 상상해 보세요:
서랍 1: 사용자 정보 👥
• 김철수 폴더: 이메일, 전화번호, 가입일, 프로필 사진
• 이영희 폴더: 이메일, 전화번호, 가입일, 프로필 사진
• 박민수 폴더: 이메일, 전화번호, 가입일, 프로필 사진
서랍 2: 게시글 정보 📝
• 게시글 #001: 작성자, 제목, 내용, 작성일, 좋아요 수
• 게시글 #002: 작성자, 제목, 내용, 작성일, 좋아요 수
• 게시글 #003: 작성자, 제목, 내용, 작성일, 좋아요 수
서랍 3: 주문 내역 🛒
• 주문 #A001: 주문자, 상품, 수량, 가격, 주문일
• 주문 #A002: 주문자, 상품, 수량, 가격, 주문일
엑셀 시트와의 비교
데이터베이스는 엄청나게 큰 엑셀 파일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사용자ID | 이름 | 이메일 | 가입일 | 상태 |
001 | 김철수 | 2024-01-15 | 활성 | |
002 | 이영희 | 2024-02-20 | 활성 | |
003 | 박민수 | 2024-03-10 | 휴면 |
하지만 일반 엑셀과 다른 점:
• 동시 접근: 수천 명이 동시에 사용 가능
• 빠른 검색: 수백만 개 데이터에서 0.1초 내 검색
• 자동 백업: 데이터 손실 방지
• 관계 설정: 서로 다른 표 간의 연결 관리
API와 데이터베이스의 완벽한 협업 🤝
이제 API와 데이터베이스가 어떻게 함께 작동하는지 구체적인 예시로 알아보겠습니다.
시나리오: 유튜브에서 동영상 시청하기
1단계: 사용자 요청 📱
• 사용자가 "고양이 영상"을 검색
• 유튜브 앱이 API에 요청: "고양이 관련 동영상 목록 주세요"
2단계: API 처리 🔄
• API가 요청을 분석: "검색어는 '고양이', 사용자는 김철수"
• 데이터베이스에 질의: "제목에 '고양이'가 포함된 동영상을 인기순으로 20개 찾아주세요"
3단계: 데이터베이스 작업 🗃️
• 수백만 개의 동영상 데이터에서 검색
• 조건에 맞는 동영상 20개 선별
• 각 동영상의 제목, 썸네일, 조회수, 업로드 날짜 정보 준비
4단계: 결과 전달 📤
• 데이터베이스가 API에 결과 전달
• API가 사용자 앱에 응답: "고양이 동영상 20개 목록입니다"
• 앱이 화면에 동영상 목록 표시
5단계: 추가 상호작용 ▶️
• 사용자가 특정 동영상 클릭
• API가 다시 데이터베이스에 요청: "이 동영상의 상세 정보와 댓글을 주세요"
• 동영상 재생 시작, 조회수 +1 업데이트
API의 다양한 종류
REST API (가장 일반적)
• 식당 메뉴판처럼 명확하고 단순한 규칙
• "GET /users/123" = "123번 사용자 정보 주세요"
GraphQL (맞춤형 주문)
• "치킨은 다리만, 피자는 치즈만 빼고" 같은 세밀한 요청 가능
• 필요한 정보만 정확히 요청
WebSocket (실시간 소통)
• 카카오톡 메시지처럼 실시간으로 데이터 주고받기
• 게임, 채팅, 주식 거래에 사용
데이터베이스의 다양한 종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MySQL, PostgreSQL)
• 엑셀 시트처럼 표 형태로 데이터 저장
• 은행, 쇼핑몰 등 정확성이 중요한 곳에 사용
문서형 데이터베이스 (MongoDB)
• 파일 폴더처럼 유연하게 데이터 저장
• 소셜미디어, 블로그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에 적합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Redis)
•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해서 초고속 처리
• 실시간 순위, 캐시 데이터에 사용
마무리: API와 데이터베이스, 디지털 세상의 필수 동반자 🎯
이제 API와 데이터베이스가 무엇인지 감이 오시나요?
API는 우리와 디지털 서비스를 연결해주는 친절한 웨이터이자 명확한 메뉴판입니다. 우리가 원하는 것을 정확히 이해하고, 뒤에서 열심히 일하는 시스템에 전달해서, 결과를 다시 우리에게 가져다줍니다.
데이터베이스는 모든 정보를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보관하는 거대한 창고이자 완벽한 파일 캐비닛입니다. 필요한 정보를 언제든 빠르게 찾아서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습니다.
"기술은 복잡하지만, 이해는 단순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우리 곁에서 묵묵히 일하고 있는 API와 데이터베이스에게 감사를 표하며..." 😌